How can individual subjectivity overlap with fictional existence?

Virtuality and Reality
Fiction and Reality ​​​​​​​
Fake und Real 
 Natural and Artificial 
Copy and Original 

List
-The Structure of the works
-My Working method
-Theme ; Mixed reality 2020-202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on and the protagonist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The grotesque sight
-Emotional evoking
-Feign a sound sleep
-Liminal space

*korean version below


[Structure of the works]

Season 1/ The first season mainly depicts the protagonist's world, allowing you to sense its aura and atmosphere. 

Season 2/ The second season focuses more on what she is doing in that world and the events that unfold. As a character who lives in a world of delusions, she sometimes yearns to escape reality, perhaps just like an ordinary person. One day, while gazing at the moon in the sky above, she believes it to be the exact same moon she saw as a child(it is!), and she is engrossed in nostalgic thoughts about her childhood. She mistakenly thinks that if she can pick or catch the moon, it will be like a "portkey" in Harry Potter, allowing her to escape from reality to another world. In her attempt to steal the moon, she becomes entangled in various incidents. 

Season 3/ begins to explore the intangible aspects of a fictional world she made, such as language, hobbies, culture or cultural context, tradition, emotions, and love.


[My Working method]


My work involves crafting fictitious realities. In my work, I turn fiction into reality, and reality into fiction. I am interested in things that pretend to be real.
I copy myself into the media as a protagonist, and make things that happen in my life as an event appear in the form of episodes in the media. Each work is a representation and realization of an episode, I personally take on my everyday life and fragmented memories in order to share them with others. I weave these together in a virtual space, causing a sense of disorientation. These episodes are reconfigured and reproduced in different forms—sometimes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sometimes presented online or in book production as 2D representations. That is to say, I expand a fiction into reality, and conversely, shift a part of reality into fiction, so that the boundary is blurred. Fiction serves as a device that obstructs the verification of events, helping to incorporate them into a virtual world. In the protagonist’s realm, my fragmented reality is intermingled with fiction, and the yet-to-be-revealed events exist in a folded state, akin to atoms. These episodes are not presented chronologically, which makes the context jumbled, causing a parachronism. This approach grants viewers the freedom to actively engage their imaginations within their own channels of perception, like gutters in comics (blank space between the frames).
My working method experiments with how personal experiences, subjectivity, and the cultural contexts they inhabit can be preserved, replicated, expanded, and translated. Also I explore how this/an individual's subjectivity can overlap with the fictional. This is not a project that has a certain conclusion nor a story or real movie with a fixed ending. I just follow the 'cinematic mechanism' that is inherent in me/ that is a part of me, as a working method for my work.




[Maladaptive Daydreaming​​​​​​​ ; Mixed reality 2020-2024]

-The new cognitivesystem; Cinematic Mechanism / Media Expression mechanism
The way I perceive and accept the world is quite cinematic. When I stroll alone through the night streets, I've often felt a curious fear that anyone who has experienced it would understand. It seems dangerous, yet I’m captivated by the aura of that space, imagining the things that might happen.
To find where it started, it began in my early childhood. When the holidays came, my family used to go camping. Usually there was no specific destination, we were just driving around and whenever we came across a beautiful spot we would set up our tent there. Later on, we would spend the night under the stars. Sometimes we packed up and moved to another location, even after nightfall. The landscape outside the window of the car was pitch dark, there were spooky trees in the distant forest and the dim street lights went by like in a panoramic view. I sometimes felt a strange fear, as if a monster is about to come out from the deep forest and is going to chase me. However, I obviously was with my family, the robust body of the car made me feel safely separated/insulated from the outside world. I kept gazing into the outside world, without taking my eyes off it. To look through the car window during a drive at night was like watching a movie screen for me. Since then, I have been living in a cinematic world, as if I was on the center of the stage. I feel a kind of aura stemming from uncanny and surreal landscapes in daily life and immerse myself into my imagination. As it were, it led me into delusion. As a person of the Generation that grew up with advanced media throughout their whole life, I made a fictional/virtual world inside which I am the protagonist, thus making a second version of myself. In this place resides my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is an ongoing experience. As an adult now, where I live is a so-called new town, a planned city. In that area, everything, even nature, has been removed and artificially rebuilt. There is an artificial lake, and sometimes when the night comes, fog emanates from the lake and covers the whole city creating a mysterious aura. The atmosphere of it was not like nature in reality, but like a film set without any traces of human beings. The bleak and spooky sight of this place stimulates my fearful curiosity. I was completely captivated by it, and I felt like I was a protagonist in a movie. I live in reality, but what I see within it is a realm of fiction and reality. I left myself in delusion.

- Paradox of development.
A new town is both a result of region growing and securing safety, and a category of artificial natural constructs in itself. Humans tried to force things to stay beside them that they can never truly own, including nature. Due to the advanced technology, a bizarre phenomenon of creating a mysterious originality of the artificial has occurred. The artificial nature here and there gives a disparate feeling, that it is inorganic and dead. Simultaneously instead, a jumble of more intricately structured and copied forms than the real nature, constructs an eerie scenery. This is not a fake or fiction anymore. It is the present virtuality.
Development creates deficiency. We think that development will solve our deficiencies, but it often gives rise to deficiency that didn’t exist before. Paradoxically, these deficiencies prompt us to long for what we had befor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large cities has provided safety, yet this overload of development causes us to lose a sense of appropriateness and stability. The meaning of appropriateness now becomes elusive. Overburdened cities lose their safety and stability once again, prompting a search for new havens. We wander in constant pursuit of betterment, progressing from traditional cities to megacities, and our path diverges once more into many directions. This may lead to the construction of new colonies, a return to naturalism, or the expansion of our existence into a new third reality (virtual reality, illusory reality, rational reality; the combination of all these is what constitutes reality).

- The three or the third world
The separation and disturbance between the worlds of reality, illusion and virtuality have been exacerbated by technological advancement. After the pandemic, our physical movements were constrained for a while, but as online interactions increased, cultural exchanges became vast, leading to an enjoyment of similar trends across the globe. Our time spent meeting people online also grew. In this way, I found myself split into two existences, living parallel lives in different cities simultaneously. Now, we can exist and being together anytime, anywhere. (Yet, with the loss of tactile experience.) These everyday situations constantly prompt me to question where my body truly is and precisely where my soul resides.
It means, a third virtual world has been added to the previously separated realms of reality and illusion. As the world advances, the boundaries between these three realms increasingly blur and intertwine, making clear distinctions impossible. Separation and precise definitions are no longer feasible. In which world and with what self are we living?
In 1980, the importance of soft power began to emerge, and South Korea became the fourth country in the world to install underwater optical cables. This development spurred the growth of media outlets and the IT industry, significantly enhancing the country's soft power. The generation born during this time has been immersed in advanced media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ir lives.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a culture and the swift spread of the internet have greatly influenced the cognitive system of this generation, allowing for easy and rapid exchanges of trends, particularly in films, dramas, and other online content.
Amid this intensification, we have become accustomed to mirroring the ways we are portrayed in the media, filming ourselves and incorporating nature into this representation. We have come to objectify ourselves, thinking of our own experiences as subjects. We record what happens to ourselves within media frameworks, becoming the protagonist of that narrative. This media-based way of thinking, which is like cinematic mechanism that I mentioned above, is a distinctive cognitive process characteristic of our generation, especially in Korea. Since 1980, the The generation that I am in has grown up with advanced media, has been influenced by the way the media presents objects and is used to showing ourselves as an object in a media. That is why I also came to see, accept and think about things around me in that similar way.
People can now "synchronize" themselves with the virtual world whenever they wish, allowing them to separate from it again at will. The desire for experiences can be easily satisfied, often more conveniently than through physical experiences. As a result, possessing such tools and means has become an inherent part of our lives. We separate our auditory, visual, and tactile senses, connecting each one to devices whenever we want to experience them individually. (However, the desire for tactile experiences paradoxically remains unfulfilled.)
By owning these tools, we can escape reality whenever we wish. The development and amplification of a world that requires imagination significantly benefit from human creativity and curiosity. In particular, I pay close attention to the natural elements manifested within this realm. When they appear in films, games, or virtual reality, we sometimes feel a sense of new originality from these replicas/products, which can fulfill our desire for original nature. Engaging in social interactions with online and virtual beings, we carve out our own space within that world. Thus, for people, the virtual is no longer fake, fostering a rationalization and belief that it is not. For many, the meaning of “fake” and “real” is no longer intrinsic to the essence of objects but rather resides in what we perceive. Our society already shows reluctance to distinguish between reality and the virtual; they have become so intertwined that it’s difficult to feel their separation in everyday life. What occurs in that interstitial space is what truly matters.
So, what do I do in that space? In the realms of nature like original reality, and imaginary worlds, and also virtual reality, how do we engage with the bizarre originality that advanced illusion brings, and how does this fictional reality affect individual subjectivity? How do illusions infiltrate reality, and how does reality seep into the realm of illusion? My work involves exploring and contemplating this mixed, intersecting space.

- Emotional AI.
At first, avatars emerged, and now we are creating new forms of self-expression on social media. With the advancement of AI, we are also crafting virtual personas and imbuing them with identities, breathing an eerie vitality into them. Yet, we feel a sense of fear regarding the rapid pac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This is intriguing: humans are both fascinated by and afraid of artificial or virtual beings having emotions and personalities that seem real. This paradox arises as we continuously approach this realm despite our fears. While technological progress is driven by curiosity and the desire for security, it simultaneously evokes a sense of unease within us.
Humans cannot bear the idea of being subordinate to any being on this planet. This is why there is a fear of being overthrown by AI. We define our past actions toward chimpanzees as necessary, yet we dread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a similar fate ourselves. We fear the exist of a fake entity pretending to be real or striving to become real. We fear that AI, by pretending to be human, might dominate humanity, projecting our past dominance over other species onto ourselves.
Isn’t an AI with emotions and creative capabilities exactly that we fear but want to create? I aim to address the aspects that humans fear most and question them. The fear of being dominated stems from the fact that we are still unstable exist by ourselves. Instead of focusing on how to gain the upper hand, we should ponder how to coexist and maintain our humanity. The instinct to conquer or be conquered is primitive and primal. We need to find ways to coexist without losing our unique human qualities.
How can we live together moving for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on and the protagonist 2023-2024]

In my work, the protagonist's relationship with the moon serves as an allegory reflecting the realities of the era, carrying significant symbolism throughout the piece. The protagonist's desire to bring the moon closer represents a form of totemic thinking and reflects on human selfishness, greed, and possessiveness through a primal sensibility,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 idea began when I was living in Korea. One foggy night, I happened to see a bluish light floating in the sky. Initially, I thought it was a mysterious natural phenomenon or even a fragment of the moon that had shattered and turned blue. I felt a sense of wonder akin to witnessing some ancient natural occurrence. However, as day broke and the sky cleared, I realized it was just a glowing brand logo on a wall between apartment buildings. When I saw the artificial blue logo, the bizarre aura it emitted intertwined with the emotions I had at the moment, triggering a sudden vision and delusion within me. The irony and uncanniness of feeling a natural aura emanating from technology struck me deeply. For artificial nature to engage safely with modern humans in a big city, it must be more intriguing than reality and have ideal conditions for escape, allowing one to return unscathed. This was embodied by the neon sign on the apartment building, a symbol of excessive technology and artificial nature.
Thus, I episodized this event. 1. She is a modern person living in confusion and anxiety, oscillating between reality and the virtual. The moon exists in a cohabitation with the protagonist, influencing each other amidst the realms of reality and illusion. At times, it shines red, at times blue, and at times yellow, emitting totemic energy. Such visual stimuli can transform into possessiveness within specific contexts (e.g., needs, conditions). The moon remains perpetually out of reach, subtly and insidiously influencing her thoughts and biology. 2. Just as humanity’s crises evoke nostalgia and a return to nature, her feelings of crisis and anxiety lead her to escape into a realm of delusion in search of stability. The moon acts like a key (portkey) that allows her to escape into this world of illusion. The protagonist attempts to dominate and possess the moon, which has become an essential presence in her life—an act of trying to control something that she desperately wishes to keep close yet cannot easily manage.
Through this, I pose the question: Is this nature or not? If artificial nature can obtain a semblance of natural existence and gain independence and legitimacy, I am prompted to reflect on the process that led to the creation of this pure technological artifact. In an age of excessive development, we have come to utilize high technology even in trivial matters, resulting in outcomes that are strikingly beautiful, remarkable, and sometimes bizarre, yet evoke curiosity and a willingness to take risks. The technology and its products may be beautiful, but the processes behind them are often not, creating a contradiction.
Another motif in my work is the idiom "chack wol sun hu" (捉月獮猴), which refers to a foolish monkey that drowns while trying to catch the moon reflected in water. It metaphorically describes the consequences of people acting beyond their means. I believe this best expresses the contemporary human perspective on nature. In my work, the moon symbolizes a questioning of how [naturalism and a return to nature are being realized, what stance humanity takes regarding its interactions with nature during this process, and ultimately, what is considered ‘nature’ and what is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2020-2023]
1. The world of nature is the eternal world of nostalgia for humans. The fact that humans are linked to the cosmos through identifying themselves with natur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the individuals and the universe.
The ancient imagination which has maintained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natural objects is also the driving force that brings it into the area of fiction/novel.
The delusion or imagination of picking the moon is sort of a system of totemic thought for the protagonist, alongside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t involves reflecting on human selfishness, greed, and desire for possession through a wild sense.

2. This is also an unconscious response to a crisis of civ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civilization, humans have begun to emerge as nature destroyers and killers of life. It is an evil result of humanism, which is that has forgotten that humans are dependent on the universal biological system. It emphasized the superiority of the mind and reason and neglected the importance of the body. 
The destruction of nature and the construction of migratory spaces were started for securing human’s safety, however it paradoxically led to insecurity of their safety and space within highly developed society, creating a sense of crisis. The longing for the ‘original nature’ of the urban people, who felt threatened by the failure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collapse of faith in human capabilities, is revealed through naturalism. 

The importance and needs of nature in the midst of the centralization of metropolitanization is a paradoxical return to humanity’s sense of security in the crisis of modern life.
We are left with the question of what moral values or norms to assign to the human-nature negotiation, or in other words, how is it morally justifiable for humans to treat nature?
In order for nature in the metropolis to be a safe aesthetic presence for modern people to interact with, it must be more interesting than reality, but not too far from it, and it must have the right harmonious balance to allow people to escape and then return to it without harm. That is the ideal form of urban-contemporary nature for humans.



[The Grotesque sight 2019]

We often find ourselves immersed in strange and mysterious nature that is not a utopian landscape. For instance, the nature depicted in horror movies, untouched deserts, exotic jungles, or solar eclipses often draw us in. Nature like this is constantly embodied as a fantasized world and also realized as a virtual world, like one in games. 
Moreover, in reality, a new form of mixed/hybrid nature is created in big cities through artificial nature that is combined with technology. Recent artificial nature seems like it has “something” of its own, unlike the awkwardness of its earlier stage.  

I categorize this "something" as a modified concept of the 'aura' perceived in the existing mysterious nature which was the original. In other words, the ‘aura’ has never deteriorated. 
The occasional artificial nature is inorganic, lifeless and alien, yet, simultaneously, it is a scramble of elaborately organized and replicated forms than reality, constructing its own eerie spectacle. This is not a fake or fiction anymore. It is the present virtuality. 
This is what I define as grotesque image. It is a scenery that looks bizarre and dangerous, yet draws you in, it is an artificial reality of its own, where it reaches to a realm of fantasy. 
Basically, the strange and dangerous shape of the existing nature, fantasy-like virtual worlds, and created nature, provokes an abstruse point (of the emotions)(on the emotional spectrum), as it means that it could clearly exist, and it definitely does.

Behind the desire for emotional exchange or interaction, which is beyond the attraction to a strange scenery and simple wonder, lies a sense of 'fearful curiosity’. In a state of recreated reality where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s blurred than in actuality, when we imagine ourselves in those places, we wonder, "What would happen if I were there?" This is fearful curiosity. According to Theodor Lipps, this kind of emotional immersion, which stimulates the observer to empathize and even immerse themselves completely within the observed subject, that is known as aesthetic observation or 'pure' observation, liberates humans from habitual and mundane perspectives.

Fearful curiosity might operate as a code that liberates or generates suppressed desires. The decoding of oppressive social codes allows human desires to transcend the boundaries of mental and spatial limits. In this process, people fantasize about 'becoming' the ‘something’ they are drawn to, projecting themselves into the landscape they are drawn to and immersing themselves in it.



[Emotional Evoking 2018]

No matter where you go, you can always feel a unique anima which is called ‘hon’, in each place. It is not
limited only by certain time or place; it is omnipresent.
The nature I face is a space that exists in the middle of void, loss, blues, and loneliness.
The natural objects in this space are shaped into a chunk of emotions, which are a spiritual being of nature grown from the void space, that are beings that stimulate the totemic miracle and awe from it.
The dark emotions are the original source and these compose the mental picture, and the energy derived from the emotions construct the shape. These totemic objects are not only the medium to connect the emotion with the space, but also ego identifying with it. 
These symbolic representations emanate a certain power, which is not concrete or physical but abstract and ambiguously defined. Through this power, the deep, abyssal emotions that seem untouched unless someone intervenes, are fully confronted, leading to the ventilation of emotions.
The interaction between my emotions and nature is a traditional approach known as 'seeing’, where one directly engages with the space, feeling its aura and entwining emotions with the aura. However, living in the modern era, we sometimes seek media reality as we cannot always be directly immersed in such spaces when needed.
This aspect of relationship-building, termed 'seeing’ in modern times, limits our sensory perception to visual stimuli, shutting down other senses. Each sense exists separately, much like connecting a jack to a computer, where our senses only connect to the 'jack' provided by the produced media. 
The immersion into an object can only be done through one sense at a time, they are limited by technical conditions that force them to be assembled separately.

Yet, due to the expansion of technology and incessant desires, we fervently replicate its inherent authenticity. Therefore, we must reflect on our desire for a reality fulfilled by just one stimulus through medi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not marvel at reality but rather pursue something beyond it. As a means of awareness, I capture scenes where I feel an immediate or indirect interaction and paint the scene, to question more directly what this can mean and what I am actually seeing. I strive to erase generalized, selfish media images and capture their subtle moments. Through these drawings, I make the painting itself 'real.'
Next,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creating strange spaces where new interactions occur, I ultimately express by choosing methods that make the space feel as real and genuine as possible, beyond both reality and virtuality. By mixing reality and virtuality to create another third space, I then adopt a direct attitude of ‘seeing’ within that space.



[ Feign a sound sleep 2017]

My nervous system is detached amidst confusion, only to be re-accepted anew. In this process, various and diverse images are added one by one, giving rise to new emotions and images, perceived as a unified whole. Diverse elements from incongruous situations undergo the process of integration back into unity in confusion. There is clearly a balance in this process. There is harmony, endurance, stability. Life is a series of Choices from Birth to Death. Countless crossroads and wanderings in confusion and darkness. It's something everyone doesn't want to experience, yet it's something we experience every moment. In fact, life is a continuous Chaos from Birth to Death.
We don't willingly accept the negative reality that is created every time. Faced with pain, we become superficial optimists or superficial pessimists. Are we afraid of being tainted by it, or do we hope to be rescued from it when we are washed away? In such superficial reality where we pretend or pretend not, we yearn for comfort but find none. The reason why we fail to see confusion, anxiety, depression, darkness, all as they are, is because we assume they are 'bad'. But 'negative' doesn't mean 'bad'. Confusion, darkness, loss, are all okay. They are processes to go through and parts of us to accept.
Therefore, we need to shed our shells and face nightmare-like emotions with humbleness and composure. Instead of avoiding anxiety, we need to sleep sound within confusion.



[Borderline 2016]

I am living on the borderline.
The bleak and spooky sight of this place stimulates my fearful curiosity.
I can’t take my eyes off of what I am seeing, even though I should not go there. 
‘Gazing’ at the various elements of the empty landscape eventually becomes to bits and pieces and those bits and pieces become a mere outer frame or branches, and leads to finding new elements.
In this process, various and diverse images are added one by one, leading to the emergence of new emotions and images.
They are perceived as another unified entity.
Diverse elements from incongruous situations are integrated back into one. 
Thu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inherent in the object becomes more significant than the object itself.
[작업 구조]

시즌1는 주인공이 사는 도시의 모습을 주로 그리고 있다. 당신은 도시의 아우라와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다. 
시즌2는 그녀가 그 세계에서 뭘 하고있고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 지를 조명한다. 그녀는 망상 세계에 빠져 사는 인물로서, 가끔 현실에서 도피하고 싶어하는 어쩌면 평범한 인물이다. 어느 날 하늘에 뜬 달을 보고 자신이 어린 시설 봤던 달과 정확하게 같은 달이라고 생각한다. 그 달을 손에 넣으면 마치 해리 포터 속의 '포트키' 와 같이 자신이 어디론가 도피할 수 있을거라 착각한다. 그렇게 달을 훔쳐오려고 하다가 여러 사건에 빠지게 된다. 
시즌 3는. 그 허구의 세계 속에 존재하는 무형적인 것들, 말하자면 언어나 취미, 문화, 전통, 감정 그리고 사랑 등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나의 작업 방식]

내 작업은 하나의 페이크이다. 나는 내 작업에서 실재하지 않는 것은 실재하는 것처럼, 실재하는 것은 실재하지 않는 것으로 만든다.
나는 나 스스로를 미디어속으로 복사해 주인공으로 만들고, 나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사건화 하여 하나의 에피소드 형식으로 보여 준다. 각각의 작업은 한 에피소드의 '실재화'이다. 일상 속의 나와 내 기억에 각인된 여러 사건의 산발적인 조각들을 선택 하여, 가상의 공간에 모두 뒤섞고 착란을 일으킨다. 말하자면 현실 속에서 픽션을 연장시키고, 반대로 부분적인 현실을 픽션 속에 밀어넣어 그 경계를 흐리게 한다. 이는 사건의 현실검증을 방해하고 비로소 가상세계로 편입 시키게 돕는 장치이다. 
주인공의 세계에는 나의 단편적인 현실만이 픽션과 버무려 구상되어있고, 아직 보여지지 않은 사건들은 접힌 부분에 원자상태로만 존재하고있다. 이 에피소드 들은 다른 방식으로 재 형성 되고 재구성 되어 되어 다른 장소에 다시 설치 되기도 하며, 온라인이나 평면적인 공간에 다시 새롭게 재현 되기도 한다. 또한 그러한 과정 속에서 각각의 사건들이 시간 순으로 제시되지 않으며, 기시 착오적 현상을 일으켜 맥락을 더욱 혼재 시킨다. 즉 관람자들 에게도 작업 사이사이의 홈통 속에서 능동적으로 상상을 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는 것이다. 
이 작업 방식은 개인의 경험, 주관성과 그 속에 있는 문화적인 맥락이 어떻게 보존되고 복제되고 또한 확대되고 번역될 수 있는지를 실험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인의 주관성이 어떻게 허구의 것과 겹쳐질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것은 하나의 완성을 위한 프로젝트도 아니고 끝이 있는 영화도, 이야기도 아니다. 나는 단지 내 안에 내재되어 있는 영화적 메커니즘을 작업방식으로 차용해 따르고 있을 뿐이다. 


[Mixed reality]

-새로운 인지 체계; Cinematic Mechanism / Media Expression Mechanism
내가 세상을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방식은 꽤나 영화적이다. 밤 거리를 홀로 거닐 때, 종종 두려운 호기심을 가져본 적이 있는 누구라면 이것을 이해 할 것이다. 위험할 것 같지만 그 공간이 뿜어내는 아우라에 매료되어, 마치 일어날 것 같은 일들을 상상하곤 하는 것.
이것의 첫 시작이 언제 였는 지 거슬러 올라가보면 그 곳엔 나의 어린 시절이 있다.
우리 가족은 휴가 시즌이 되면 종종 캠핑을 가곤 했는데, 정해진 지역이라 할 것 도 없이, 드라이브를 하다 멋진 풍경이 보이면 그 곳에 텐트를 치고, 밤이 되면 별을 보며 시간을 보내곤 했다. 가끔은 밤이 다 되어서야 짐을 싸고 다른 곳으로 이동을 할 때도 있었다. 차창 밖은 칠흑과 같았고, 까마득한 숲 속의 나무와 길가의 가로등이 마치 파노라마처럼 빠르게 스쳐갔다. 나는 이따금씩 숲 속에서 괴물이 튀어나와 나를 쫓는 것만 같은 묘한 공포감이 들었다. 그러나 나는 가족과 함께였고 튼튼한 차체는 내가 외부 세계와 안전하게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다. 나는 그에 시선을 돌리지 않고 계속해서 창밖을 구경했다. 그 차의 창은 마치 나에게 즐길 수 있는 공포 영화와도 같았다. 그 이후로 나는 영화적 세계에 살고 있다. 마치 나 자신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것처럼 내 자신의 세계를 만들기 시작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 곳에 나 자신을 복제시켰다. 그리하여 그 곳엔 내 과거, 현재, 미래가 있다. 
이것은 현재 진행중이다. 어른이 된 지금, 내가 사는 곳은 모든것이 없어지고 인조로 새로 건설된 신도시이다. 그 곳엔 인공 저수지와 호수가 있는데, 밤이 되면 가끔씩 안개가 도시를 뒤덮고 알 수 없는 기괴한 아우라를 만들어냈다. 그것의 분위기는 실재하는 자연이 아닌, 마치 판타지나 디스토피아 영화의 세트장같았다. 이것은 나를 마치 영화속의 한 인물인 것 처럼 생각하게 만들었고, 왠지 일어날 법 한 일들을 상상하게 만들었다. 나는 현실에 살고있지만 그 속에서 내가 보는 것은 허구와 실재의 영역이었다. 그 것은 나를 망상하게 만들었다.

- Paradox of development.
신도시는 인간의 영역 확장과 안위 확보를 위한 결과물 이자 그것 자체로 인공 자연물의 한 범주이다. 인간은 자연을 포함한, 애초에 소유할 수 없는 존재들을 자꾸 인위적으로 곁에 두려 한다. 그러다가 생긴 고도의 기술력으로 인해 인공물 고유의 기괴한 오리지널리티를 만들어내는 희안한 현상이 생겼다. 이따금씩 보이는 인공물 들은 무기적이며 살아 숨쉬지 않는다는 이질적인 느낌과 동시에, 오히려 실제보다 더 정교하게 조직되고 복제된 형태가 뒤섞여 더 기괴한 그것 만의 풍광을 구축한다. 그것은 나에게 상상의 기폭제로서 작용하며, 더 이상 허구 이거나 조작된 가짜가 아니다. 실존하게 된 가상이다.
발전은 결핍을 야기한다. 발전으로 인해 우리는 결핍을 해결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지만 발전으로 인해 오히려 전에 없던 결핍이 생겨나게 된다. 그 결핍은 역설적으로 발전 이전의 것을 그리워 하도록 종용한다. 대도시의 발전은 인류에게 안전함을 제공했지만 발전의 과부하로 안정성과 적당함을 잃었다. 적당함이라는 의미는 이제 갈피를 잃는다. 과부하된 도시는 안전성과 안정성을 다시 잃는다. 그리하여 다시 새로운 보금자리를 위해 새로운 곳으로의 탐색을 시작한다. 더 나은 것을 위해 끊임없이 발전하며 방황한다. 전통 도시에서 대도시로, 대도시에서 우리의 갈 길은 또 다시 여러 갈래로 나뉜다. 새로운 콜로니의 건설 혹은 자연주의로 회귀, 혹은 다시 새로운 제 3 현실로 (즉 가상 현실로, 말하자면 가상현실 환상현실 이성현실 이 모든 것의 결합은 결국엔 현실인 것이다) 증폭되어 삶의 영역을 확장한다. 

- The three or the third world
현실과 망상 두 세계, 그것의 분리와 교란은 기술 발전에 의해 더 가중되기 시작했다. 판데믹 이후 우리의 물리적 움직임은 한동안 경직 되었었지만, 온라인에서 활동량이 많아짐에 따라 문화적 교류는 막대하게 일어났고, 역설적으로 세계는 같은 트랜드를 향유하게 되었다. 웹에서 사람들을 만나는 시간도 늘었다. 그렇게 나는 두 개의 존재로 나뉘어 동시에 두 개의 도시에서 평행하게 살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우리는 언제 어디에나 동시에 함께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촉각의 상실과 함께). 이러한 일상적인 상황들은 나에게 내 몸이 실제로 어디에 있는지 그리고 정확히 내 영혼이 어디에 있는지 끊임없이 질문하게 한다. 
앞서 말했든 물리적 공간에서 나뉘어졌던 실제와 망상 두 세계에, 제 3의 가상 세계가 추가됐다. 그리고 세상이 발전하면 할 수록, 그에 따라 점점 더 그 세 세계는 서로의 경계가 흐려지고 뒤섞여 더이상 명확한 분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분리와 명확한 정의는 불가능하다. 우리는 어떤 세계에서 어떤 자아로 살아가고 있는가.
1980년 한국은,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이 대두 됨과 함께 세계에서 네 번째로 해저 광 케이블이 설치 되었고, 이후 미디어 매체를 비롯한 IT 산업을 발전시켜 소프트 파워를 증진 시켰다. 이 시기 이후 태어난 우리 세대는 말하자면 발전된 미디어와 처음으로 전 생애를 함께 한 첫 세대가 되었다. 이러한 미디어 문화의 발전과 인터넷의 빠른 보급은 오늘날 영화, 드라마를 비롯한 온라인 트랜드에 쉽고 빠르게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게 만들었으며 이는 우리의 인지 체계에 큰 영향을 주게 되었다.
우리는 미디어 속에 대상이 표현되는 방식들을 카피해서, 자연(original)을 포함한 자신을 필르밍하고 매체에 등장시키는 일에 익숙해졌다. 우리는 자신 스스로 또한 대상화 시켜 사고하게 되기에 이르렀다.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미디어 매체 속에 기록하고 그 엮음의 주인공이 된다. 앞서 언급한 영화적 메커니즘과 같은 이러한 미디어 기반 사고방식은 특히 한국에서 두드러지는 우리 세대만의 독특한 인지 과정이다. 요컨대, 1980년 이후 내가 속한 세대는 첨단 미디어와 함께 자랐고, 미디어가 사물을 제시하는 방식에 영향을 받았으며, 미디어에서 사물로서 자신을 보여주는 방식에 익숙해져 있다. 그리하여 나 또한 그러한 방식으로 주변 사물을 보고, 받아들이고, 생각하게 되었음을 인지한다.
또한 사람들은 원할 때마다 가상에 자신을 ‘동기화’ 시키고 또 다시 분리시킬 수 있게됐다. 이것은 경험의 욕구를 쉽게 만족시킬 수 있으며 실제 물리적 경험보다 더 간편하다. 그렇기때문에 그런 도구와 수단을 소유하는 것은 우리의 당연한 일부가 되어버렸다. 우리는 청각 시각 촉각을 분리하여 원할 때 마다 각각의 감각의 '잭'을 '디바이스'에 연결하여 체험한다 (그러나 촉각의 욕구는 또한 역설적으로 결핍된다). 그것을 소유함으로써 우리는 언제든지 현실에서 멀어져 도피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상상력을 필요로 하는 영화나 게임 등 미디어 세계의 발전과 증폭에는 인간의 상상력과 호기심이 기여 하는 부분이 크다. 특히 나는 그 속에서 구현되는 자연물과 복제된 원본들을 눈여겨 보고있다. 다시말해 나는 진짜가 되려하는 가짜를 눈여겨 보고 있다. 그것이 영화나 게임, 가상 현실에 등장 했을 때, 그 복제품으로 부터 우리는 새로운 오리지널리티를 느끼며 때로는 그것으로부터 원본에 대한 욕구가 충족 되기도 한다. 온라인 및 가상의 존재들과 사회적 교류를 하기도 하며 그 세계속에 자신의 영역을 일구어 놓기도 한다. 그리하여 사람들에게 가상은 더이상 가짜가 아니며, 그것이 가짜가 아니라는 ‘합리화’와 믿음을 갖게 만든다. 이미 사람들에게 ‘가짜’와 ‘진짜’에 대한 의미는 대상의 본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보는 것(믿는 것)에 있다. 우리 사회는 이미 현실성과 허구성, 가상을 구분하고싶어 하지 않는다. 일상에서 느끼지 못 할 만큼 이미 혼재되어있다. 그 사이의 공간에서 어떤 일이 발생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그리하여 그 곳에서 나는 무엇을 하는가. 자연과 오리지널의 현실, 상상의 세계. 가상의 세계라는 각각의 영역에서 진보된 '허상성'이 갖게된 기괴한 오리지널리티를 우리는 어떻게 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허구의 현실은 개인의 주관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허상이 어떻게 현실에 잠입되어있고 현실이 어떻게 허상의 영역에 스며 들어 있는지, 나의 일은 그 혼재된 교차 영역에서 탐구하고 사유하는 것이다. 

- 감정을 지닌 A.I
처음에는 아바타가 등장했고, 이제 우리는 소셜 미디어에서 새로운 '자기 복사본'을 만들고 있다. A.I 의 발전과 더불어 우리는 가상 페르소나를 만들고 그것에 정체성을 부여하여 기괴한 생명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러면서도 기술 발전의 속도에 두려워하고 있다. 나는 이것이 흥미롭다. 인간은 인공 혹은 가상의 존재가 감정과 마치 진짜인 것 처럼 인격을 갖게되는것을 우리는 상당히 두려워 하면서도 끊임없이 그 영역에 다가간다. 기술 발전은 호기심과 안위확보를 위한 욕구에 의해 이루어 지지만 이것은 역설적으로 우리를 불안하게 만든다.
인간은 이 지구상 그 어떤 존재보다 하위에 있는 것을 견지디 못한다. 그래서 A.I 에게 지위를 전복 당할까 두려워한다. 우리가 침팬지에게 했던 모든 일들을 필요불가결한 것으로 규정 하면서도 그 일들을 우리가 겪는 처지가 될까 두려워한다. 진짜인 척 하는 혹은 진짜가 되려하는 가짜를 두려워한다. 그것이 인간이 되어 인간을 지배할 까봐 겁낸다. 결국엔 그 가짜에 본인들이 다른 종을 지배했던 모습을 투영해서 지배당할것을 걱정한다.
감정과 창작능력을 갖고있는 A.I 가 바로 그것 아닐까. 나는 인간이 가장 두려워 하는 부분을 건드리고 반문 한다. 지배 당할까 두려워 하는 것은 우리가 인간이기에 그렇다. 어떻게 우위에 설 것인가가 아닌, 어떻게 같이 살 것인가 어떻게 인간다움을 유지 할 것 인가를 더 고민해야한다. 어떤것을 정복 시키거나 정복 당하는 것은 원시적이고 원초적인 본능일 뿐이다. 우리는 인간다움과 인간 고유의 능력을 상실하지 않은 채 함께 살 것을 찾아내야 한다.
우리는 어떻게 같이 살아나갈 것인가.


[달과 주인공의 관계]

내 작업에서 주인공의 달의 관계는 시대 현실을 비추는 존재로서 작업 전체에 큰 상징성을 갖고있다.달을 데려오려는 것은 주인공에게는 토템적 사유체계의 일종 이기도 하며,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이기심과 욕심, 소유욕을 야생적 감각을 통해 반추하는 것이다
이 아이디어의 시작은 내가 한국에 살 때, 밤 안개가 자욱하던 날, 하늘에 둥둥 떠있는 푸르스름한 불 빛을 우연히 보게 된 것에서 부터 시작됐다. 나는 처음에 그것이 신비한 자연현상이나 심지어는 푸르스름하게 깨진 달의 조각인 줄 알고, 태고적 자연현상을 목격하고 아마도 놀라워 했을 그 무엇의 감정을 느꼈다. 그러나 해가 밝고 날이 개자 그것이 아파트 빌딩 숲 사이 벽에 걸려있는 브랜드의 빛나는로고 네온사인이었다는 것을 알게됐다. 그 인공의 푸른 아파트 로고를 보게 되었을 때, 인공 불빛이 주는 기괴한 아우라가 그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감정과 맞물려 나에게 순간적으로 환상과 망상이 발현되었다. 테크놀로지에서 자연적인 아우라를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고 괴상하게 다가왔다. 대도시 속의 인공자연이 현대 인간과 교감할 수 있는 안전한 심미적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현실보다는 더 흥미로울 것, 또한 도피 했다가 금방 타격 없이 돌아올 수 있는 이상적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이것을 충족 시키는 것이 바로 아파트 네온사인 이었다. 이것이 인공자연 아닌가? 기술 과잉이자 인공자연의 대표적 상징물이다
그래서 이 사건을 에피소드화 하였다. 1. 그녀는 현실과 가상을 오가며 혼란과 불안 속에 사는 현대인이다. 달은 현실과 허상 속에 주인공과 서로간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존하고 있었다. 그것은 때로는 붉게, 때로는 퍼렇게, 또 때로는 노랗게 빛나며 토템적 영험을 내뿜는다. 이러한 시각적 자극은 특정한 맥락 속에서 일어나면 소유욕으로 변한다. 달은 절대 닿지 못하는 곳에 있고, 계속하여 그녀의 사유체계와 생체에 미묘하고 음습하게 영향을 끼치는 존재로 변화한다. 
2. 인류의 위기가 자연으로의 회귀와 노스탤지어를 불러일으켰듯, 현실에서 그녀의 위기감과 불안은 안정감을 찾기 위해 망상의 세계로 도피하게 만든다. 달은 현실에서 멀어저 망상의 세계로 도피할 수 있게 해주는 열쇠 혹은 'portkey'와 같은 존재이다. 주인공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존재가 된 달을 하나의 도구로서 지배하고 소유하려 한다. 곁에 두고싶지만 쉽게 컨트롤 할 수 없는 것을 억지로 지배하거나 통제하려는 행위이다.
이것을 통해 나는 질문을 한다. 이게 자연일까 아닐까?. 인공자연이 자연적 존재 가치를 비슷하게나마 얻게되고 존재의 독립성과 정당성을 획득했는데, 이렇게 순수한 기술의 결정체를 얻게 되기까지의 과정이 어땠는지 생각을 하게된다. 과잉 발전의 시대에 사소한 것 하나에 까지 고도의 기술을 쉽게 쓰게됐는데 그 결과물이 너무나 아름답고 뛰어나고 때로는 기괴하지만 궁금하고 위험을 감수하고 싶게 만드는, 감정 이입을 이끌어내는 것, 또한 기술 자체와 결과물은 아름답지만 그 과정은 아름답지 않은 것/이 모순적이다
이 작업의 또 다른 모티브가 된 착월선후(捉月獮猴)라는 말이 있다. 어리석은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고 하다 물에 빠져 죽는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다. 사람이 제 분수에 맞지 아니하게 행동하다가 화를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이것이 현대의 자연에 대한 인간의 시각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이다 생각했다. 내 작업에서 달은 [자연주의, 자연으로의 회귀는 어떤 식으로 실현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교섭에 대해 인류 당사자는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고, 도대체 무엇이 ‘자연'이고 무엇이 ‘자연'이 아닌 것일까] 반문 하게 만드는 상징적 의미이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

1.자연의 세계는 인간에게는 영원한 노스탤지어의 세계이다. 인간이 우주 만물과 공감적 친화력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은 나와 우주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자연물들과 친연관계를 유지해왔던 고태적 상상력은 소설의 영역에 진입 시키게 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기계적 근대화와 과학적 기술의 첨단화 과정에서 영상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표현의 영역이 넓어지면서 고대의 신화적 상상력 혹은 민담적 상상력은 끊임없이 귀환하게 하는 성질을 갖게 되었다. 달을 데려오려는 망상 혹은 상상력은 주인공에게는 토템적 사유체계의 일종 이기도 하며,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의 이기심과 욕심, 소유욕을 야생적 감각을 통해 반추하는 것이다.
2. 이것은 문명의 위기에 대한 무의식적 대응이기도 하다. 인간은 현대 문명의 발달과정에서 자연 파괴자 혹은 생명말살자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인간은 우주 생물 체계에 의지하고 있는 존재임이 망각되었던 인본주의의 폐해이다. 정신과 이성의 우월함에만 경도되어 육체의 중요함에 대해서는 소홀했다. 자연 파괴와 이주공간의 건설은 인간의 안위 확보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그 결말은 극도로 발전된 사회 속에 역설적으로 개인의 설 자리, 안위가 불안정하게 됨으로써 위기의식을 발생시켰다. 계몽주의의 실패와 인간 능력에 대한 믿음의 붕괴에 위기감을 느낀 도시민들의 ‘원초적 자연'에 대한 그리움은 자연주의를 통해 드러난다. 
대도시 집중화 속에 부각된 자연 존재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인류가 현대 삶의 위기의식(쥐 연구)속에서 안위 확보를 하기 위한 역설적인 회귀이다. 우리에게는 인간과 자연의 교섭에 대해 어떤 도덕적 가치 또는 규범을 부여할 것인가, 다시 말해 인간은 자연을 어떻게 대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정당한가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대도시 속의 자연이 현대 인간과 교감할 수 있는 안전한 심미적 존재가 되기 위해서는, 현실보다는 더 흥미로울 것, 그러나 현실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있지 않을 것, 또한 도피했다가 금방 타격 없이 돌아올 수 있는 적절한 조화가 있는 조건이 갖추어져야 할것. 그것이 비로소 인간에게는 가장 이상적인 형태인 것이다.


[괴이한 풍경]
 
우리는 종종 유토피아적 풍경이 아닌 낯설고 오묘한 신비로운 자연에 빠져들 때 가 있다. 예를 들면, 공포 영화 속의 자연, 사람이 닿지 않았던 사막, 정글 속의 생경한 자연이나, 개기일식, 들이 그렇다. 이런 자연은 수시로 판타지적 세계로 구현되고 또한 가상의 세계, 게임 속의 세계로 실현된다. 
 나아가 현실에서 또한, 대도시에서는 테크놀로지와 결합된 인공 자연물 통해 새로운 형태의 혼합 자연이 창조되기도 한다. 요즘의 인공 자연물들을 보면 초기의 어설픈 느낌과는 달리 그것 만의 또 다른 '무엇인가'를 풍기기도 한다.  나는 이 '무엇인가'를 실존하는 자연, 즉 오리지널에서 느끼는 ‘아우라'의 상위 변환 개념으로서 분류한다. 다시 말해, 아우라는 붕괴된 것이 아니다. 
이따금씩 보이는 인공 자연물들은 무기적이며 살아 숨쉬지 않는다는 이질적인 느낌과 동시에 오히려 실제보다 더 정교하게 조직되고 복제된 형태가 뒤 섞여 되레 더 기괴한 그것 만의 풍광을 구축한다. 그것은 더 이상 허구이거나 조작된 가짜가 아니다. 실존하게 된 가상이다.
내가 범위하는 괴이한 풍경이란 이런 것이다. 왠지 기괴하고 위험할 것 같지만 가보고 싶고 빨려드는 풍경,고유의 인공 현실, 판타지적 세계로까지 발현되는 풍경이다. 
요컨대, 실존하는 낯설고 위험한 자연의 모습이나, 판타지와 같은 가상 세계, 창조된 자연물 들은 분명 그것이 실존할 것 같다는, 또한 실존 한다는 의미로써 우리에게 오묘한 감정선 상의 한 지점을 자극한다.
괴이한 풍경의 끌림과 단순한 경이로움을 넘어선, 감정 교류 혹은 교류 욕구의 이유에는 '두려운 호기심'이 그 기저에 있다. 실제와 가상의 경계가 허물어진 실제보다도 더 실제같은 재창조의 상태에서, 우리는 그 앞에 놓여지면 그 곳에 처해지는 상상을 한다. "저곳에 가면 어떻게 될까" 하는 것 들. 이것이 두려운 호기심이다. 테오도르 립스에 따르면 관찰자로 하여금 감정이입이 되도록 자극시키고, 더 나아가 관찰된 대상 속으로 관찰자 스스로 완전히 빠져들도록 자극시키는 것, 즉 관조 내지는 미학적 관찰, ‘순수한’관찰 이라고 부른 이러한 종류의 감정이입은 인간을 습관적이고 일상적인 관점으로부터 해방시킨다.
두려운 호기심은 억압되거나 혹은 생성된 욕망을 해방시키는 한 코드로써 작동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억압적인 사회적 코드의 탈코드화는 인간의 욕망이 정신적이고, 공간적인 제약의 경계를 벗어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들은 그들이 이끌린 '무엇인가'가  '되기'를 상상한다. 자신이 이끌린 풍경에 자신을 그 곳에 투영하고 이입하는 것이다.


[감정의 환기]

어디든지, 그 장소에는 그 만의 혼이있다.
그것은 어떤 특정한 시간이나 공간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 것이다. 이는 그곳에 머무르게 되는 각자의 감정과 섞여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으로 인식된다.  
내가 마주하는 자연은 공허와 상실, 우울함, 외로움 속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그 공간 속에 놓여있는 자연물들은 감정이 뭉친 덩어리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그것들은 공허한 공간 속에서 자라난 자연 영물로서 그로부터 비롯되는 토템적 영험과 경외심을 자득하게 하는 존재이다. 어두운 감정들을 원재료로 하여 심상이 구성 되고 그 에너지가 모여져서 구체적인 형태를 갖춘다. 이 토템적 대상들은 감정과 공간을 이어주는 매개이기 도 하고 자신과 동일시되는 자아 이기도 하다. 이 상징적 표상들은 어떤 힘을 발산하는 존재로서 그 힘은 구체적이고 물리적인 힘이 아니라 추상적이고 정 체가 모호한 힘이다. 그 힘으로써 누군가가 건드리지 않으면 들춰지지 않을 것 같은 심연의 어두운 감정들이 온전히 자신과 마주하여 감정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나의 감정과 자연이 교감 하는 일은 전통적 의미로서 ‘봄’이라는 태도를 취해 그 공간에 속하여 직접 교감하는 것이며 그 곳에서 느낄 수 있는 아우라, 그 아우라와 감정이 얽히는 행위이다. 
그러나 현대에 살아가며 원할 때, 필요할 때마다 매번 그 곳에 직접 포함될 수 없으므로 인해 때때로 미디어적 리얼리티를 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계 맺기의 양상, 즉 현대의 '봄' 이라는 것은 시청각적인 감각만을 남겨두고 나머지 감각을 모두 닫게 한다.나머지 감각들은 모두 각각 존재하게 되는것이다.마치 컴퓨터에 잭을 연결하듯 우리의 오감은 생산된 미디어가 제공하는 ‘잭' 만을 연결하여 그 것을 받아들인다. 대상의 끌어 들임은 오감의 한 가지에 한해서만 취해질 수 있으며 그것들은 기술적 조건에 의해 따로 따로 조립되어 올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기술의 확대와 끊임없는 욕구로 인해 그 고유의 진품성을 더 열렬히 복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드시 어떤 것을 매개로 하여 한가지의 자극만으로도 충족되는 우리의 리얼리티에 대한 욕구를 반성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우리는 리얼리티에 감탄할 것이 아니라, 그 너머의 무엇인가를 추구해야 한다.
이것에 대한 자각의 의미로 먼저, 무엇인가 나와 교감을 하고 있다고 느낀 직-간접적 이미지의 장면을 포착해서 그림으로써 과연 이것이 어떤 의미가 될 수 있을지, 내가 실제로 보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더 직접적 으로 질문하고 깨닫는 과정을 밟는다. 보편화된 미디어적, 이기적 이미지를 지우고 그들만의 오묘한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 그림 자체가 ‘실재’가 되게한다
다음으로 ,새로운 교감이 이루어지는 오묘한 공간을 구현하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결국은 그 공간을 실제와 가상이 섞인, 실제를 너머 그 자체로서의 진품성이 있는 공간으로 느끼게 한다는 방법을 택하여 표현한다. 실제와 가상을 혼합하여 그 공간을 또 다른 제 3의 공간으로 만들어 낸 후 그 공간 안에서 다시 직접적인 봄 의 태도를 취하는 것이다. 


[악몽]

나의 신경계는 혼란 속에서 분리되어 다시 새로이 받아들여진다.  이 과정에서 다양하고 다른 이미지가 한 조각씩 더해져 새로운 감정과 이미지가 생겨나고 그것이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된다. 통일되지 않은, 맞지 않는 상황의 각기 다른 것들이 혼란 속에서 다시 하나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을 밟는다. 이런 과정에는 분명 균형이 있다. 조화가 있고 인고와 안정이 있다.
인생은 태어날 때_Birth 부터 죽을 때_Deth 까지 선택_Choice의 연속이다. 그 틈의 수많은 갈림길과 방황이 혼란과 어두움을 만든다. 모든 사람이 겪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이고, 또한 매일 매시간 겪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인생은 태어날 때부터 죽을 때까지 혼란_Chaos의 연속인 것이다.
그렇게 매번 생성되는 부정적 현실을 우리는 기꺼이 받아들이고 싶어 하지 않는다. 우리는 고통 앞에서 피상적 낙관론자 혹은 피상적 비관론자가 된다. 그것에 빠져들어 오염되기가 두려운 것일까 아니면 그곳에 빠져버려 구조되기를 바라는 것일까. 그렇게 아닌 척, 혹은 그런 척 하는 피상적 현실에서의 우리는, 손길을 갈구하지만 어디서도 위로 받을 수 없다. 사실 우리가 혼란과 불안, 우울, 어둠, 이 모두를 그 자체로 보지 못하는 이유는 사실 그것이 ‘좋지 않은’것 이라는 시선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것은 ‘나쁜 것’이 아니다. 혼란도, 어둠도, 상실도 괜찮다. 거쳐야 할 과정이며 받아들여야 하는 우리의 일부이다.
그렇기 때문에 껍데기를 도려내고 악몽과도 같은 감정을 드러내어 겸허하고 담담하게 마주 할 필요가 있다. 불안의 외면이 아닌 혼란 속의 숙면을 취해야 한다.



[경계선]

나는 경계선상에 살고있다.
이곳의 스산하고 이상한 광경은 두려운 호기심을 자극한다.
왠지 가면 안될 것 같지만 계속하여 시선을 머물게 하고 집중하게 한다.
그런 공허한 풍경에서 그 곳이 품고있는 여러 요소들을 계속하여 '응시'하는 것은 
결국엔 그것들은 모두가 하나하나 조각이 되어 
그 자체의 단순한 외형적 틀이 되거나 잔가지가 되어 다시 새로운 요소를 찾아나가게 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하고 다른 이미지가 한 조각 씩 더해져 새로운 감정과 이미지가 파생되고 
그것이 또 다른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된다. 
통일되지 않은, 맞지 않는 상황의 각기 다른 것들이 다시 하나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을 밟는다.
그리하여 대상 그 자체보다 대상이 지닌 상징적 표상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Back to Top